ISO(국제 표준화 기구)에서 제정한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규격을 말합니다.
이 규격의 목적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조직의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을 표준화하여 국제적인 통상의 편리함을 도모하자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. 품질 경영 시스템은 다양한 측면 즉, 시장 점유율 상승, 비용의 절감, 효과적 위험 관리, 고객 만족 등의 운영 방법 향상을 지향하여 전반적인 분야의 성과를 개선하고 관리하는 체제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ISO 9001(9000)은 현재 161개국의 75만개 이상의 기업에서 사용 중이며 품질 경영 뿐 아니라 일반적 경영 시스템까지 포괄하여 광범위한 표준을 규정하는 독보적 품질 경영 체제입니다.
이 규격의 적용 분야는 제조, 건설, 서비스뿐만 아니라, 학교 및 지방 자치 단체와 같은 공공 서비스 분야에 이르기까지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 모든 규모의 조직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.
이러한 체제는 기업들이 자사 직원의 동기 부여, 개선, 또한 고객 서비스 만족 등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내는 유익을 드립니다.
인증 취득 방법은 조직은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후 제 3자(인증기관)로부터 객관적인 심사를 거쳐 인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.
기업이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제품을 일관성 있게 제공하는 능력을 인증합니다.
시스템의 지속적 개선, 고객 요구사항에 적합함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적용합니다.
제조물 책임 및 책임 경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.
ISO9001(9000) 규격은 조직의 형태, 규모 및 제공되는 제품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규격의 요구사항은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고객만족 증진이라는 목표 하에 경영책임, 자원관리, 제품실현 및 측정, 분석 및 개선의 4개 핵심 프로세스로 구성되어있습니다.
ISO 9001(9000)의 효과적인 접근은 다음과 같은 경영효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
프로세스의 효과적인 관리를 통하여 부적합을 예방하고, 존재하는 부적합은 정확한 검출과 근본 원인에 대한 제거로 고객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.
지속적인 경영시스템 최적화를 추구하여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제거하여 경영 효율의 극대화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.
현재보다 높은 수준의 제품 및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 확보로 고객 만족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.
조직원 들의 업무 수행범위 확장과 능력 향상에 기여합니다.
재해예방 및 사고율 감소합니다.
국제적인 모델의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이라는 자긍심과 강한 동기 부여 제공합니다.
기업(조직)의 시스템 체계 확립을 통한 품질향상, 원가절감, 생산성 향상됩니다.
고객만족도 및 신뢰성 향상됩니다.
지속적개선
업무의 표준화 및 책임과 권한의 명확화 -> 업무 효율성 증대
재해예방 및 사고율 감소
기업의 이미지 향상
인증등록 업체에 대한 정부 지원 혜택 수혜-조세감면 규제법에 따른 세액공제 및 금융기관의 기술 신용평가시 가산점 부가됩니다.
ISO 9001(9000) 의 채택은 회사가 글로벌한 회사로 인식 되도록 다음을 입증하여 줍니다.
핵심 프로세스의 보다 나은 경영을 통해 원가 절감 및 효율성 증대
고객 만족도 향상 및 기존 고객 유지
종업원 동기부여 , 인식 및 윤리 (moral)의 개선
시장 내 지위 향상
기술표준원(한국표준협회) KS 공장 심사 시 일부 면제
NEP(신제품인증 - 기술표준언)현장 심사 시 품질경영시스템 평가 면제
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른 기술비 세액공제
지자체 –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인증획득자금지원
금융기관의 기술신용평가 시 자발적으로 가산점 부여
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47조 및 제47조의 2에 따른 시공능력평가 및 용역업자 용역능력평가 시 가산점 부여
ISO 9001:2008 규격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.
4.1 일반 요구사항 [General requirements]
4.2 문서화 요구사항 [Documentation requirements]
5.1 경영 의지 [Management commitment]
5.2 고객 중심 [Customer focus]
5.3 품질방침 [Quality policy]
5.4 기획 [Planning]
5.5 책임, 권한 및 의사소통 [Responsibility, authority and communication]
5.6 경영 검토 [Management review]
6.1 자원 확보 [Provisions of resources]
6.2 인적자원 [Human resources]
6.3 기반구조 [Infrastructure]
6.4 업무환경 [Work environment]
7.1 제품실현 기획 [Planning of product realization]
7.2 고객 관련 프로세스 [Customer-related processes]
7.3 설계 및 개발 [Design and development]
7.4 구매 [Purchasing]
7.5 생산 및 서비스 운영 [Production and service operations]
7.6 모니터링장치 및 측정장치의 관리 [Control of monitoring and measuring devices]
8.1 일반사항 [General]
8.2 모니터링 및 측정 [Monitoring and measurement]
8.3 부적합제품의 관리 [Control of nonconforming product]
8.4 데이터의 분석 [Analysis of data]
8.5 개선 [Improvement]
(단위: M/D)
유효한 종업원 수 | 심사기간 1단계 + 2단계(일수) |
유효한 종업원 수 | 심사기간 1단계 + 2단계 (일수) |
---|---|---|---|
1-5 | 1.5 | 626-875 | 12 |
6-10 | 2 | 876-1175 | 13 |
11-15 | 2.5 | 1176-1550 | 14 |
16-25 | 3 | 1551-2025 | 15 |
26-45 | 4 | 2026-2675 | 16 |
46-65 | 5 | 2676-3450 | 17 |
66-85 | 6 | 3451-4350 | 18 |
86-125 | 7 | 4351-5450 | 19 |
126-175 | 8 | 5451-6800 | 20 |
176-275 | 9 | 6801-8500 | 21 |
276-425 | 10 | 8501-10700 | 22 |
426-625 | 11 | 10700 | 별도문의 |
* 사후 관리 심사는 각 심사 일수의 1/3, 갱신 심사는 각 심사 일수의 2/3를 적용한다.
* 변경심사(인증의 축소, 확대)일 경우 최초 인증심사의 최대 80%까지 적용한다. (단, 공통되는 부문의 인원 제외)
* 건설업체의 경우 사후관리 심사 시 현장 확인을 위하여 1MD를 추가할 수 있다.